React에서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비교 – Redux, Recoil, Zustand
반응형
React 앱이 커지면 컴포넌트 간 상태 공유가 복잡해집니다. 이때 외부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상태 흐름을 더 명확히 하고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. 오늘은 대표적인 상태 관리 도구 Redux, Recoil, Zustand를 비교해보겠습니다.
1. Redux – 전통적인 강자
Redux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태 관리 도구입니다. Flux 패턴을 기반으로 상태를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합니다.
- 예측 가능한 상태 관리
- 미들웨어를 통한 로깅, 비동기 처리 등 확장성 우수
- 코드 양이 많고 학습 곡선이 있음
// Redux 예시
import { createSlice } from '@reduxjs/toolkit';
const counterSlice = createSlice({
name: 'counter',
initialState: { value: 0 },
reducers: {
increment: state => { state.value += 1 },
decrement: state => { state.value -= 1 }
}
});
export const { increment, decrement } = counterSlice.actions;
export default counterSlice.reducer;
2. Recoil – Facebook의 공식 지원 실험
Recoil은 React의 선언적 방식에 잘 맞는 상태 관리 도구입니다. atom과 selector 개념을 도입하여 컴포넌트 중심의 상태 구성이 가능합니다.
- React와의 통합성이 매우 좋음
- 비동기 상태(selector)도 간단히 처리
- 아직 실험적 단계 (버전 안정성 고려)
// Recoil 예시
import { atom, useRecoilState } from 'recoil';
const countState = atom({
key: 'countState',
default: 0,
});
function Counter() {
const [count, setCount] = useRecoilState(countState);
return <button onClick={() => setCount(count + 1)}>{count}</button>;
}
3. Zustand – 작고 직관적인 상태 관리
Zustand는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고, 최소한의 코드로도 전역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. React의 문법과 거의 섞이지 않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.
- 초경량 (1KB 미만)
- 설정이 거의 필요 없음
- Vanilla JS 스타일, React 외부에서도 사용 가능
// Zustand 예시
import { create } from 'zustand';
const useStore = create((set) => ({
count: 0,
increment: () => set((state) => ({ count: state.count + 1 }))
}));
function Counter() {
const { count, increment } = useStore();
return <button onClick={increment}>{count}</button>;
}
4.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
라이브러리 | 장점 | 단점 | 추천 상황 |
---|---|---|---|
Redux | 확장성, 미들웨어, 생태계 풍부 | 러닝커브, 코드 복잡도 | 대규모 앱, 상태 흐름이 복잡한 경우 |
Recoil | React 친화적, 비동기 처리 편리 | 실험적, 커뮤니티 작음 | React 중심의 프로젝트, 복잡한 컴포넌트 트리 |
Zustand | 가볍고 직관적 | 기능이 단순함 | 작은 프로젝트, 빠른 개발 |
5. 마무리
상태 관리 도구는 프로젝트의 규모, 팀 구성, 기능 복잡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꼭 하나만 고집하기보다는,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고 상황에 따라 바꾸는 유연한 접근이 중요합니다.
반응형
'Programming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의 고급 Hook 알아보기 – useMemo, useCallback, useRef (0) | 2025.04.11 |
---|---|
React에서 Context API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기 (0) | 2025.04.11 |
React 프로젝트 구조 설계 – 폴더 구조와 컴포넌트 관리 전략 (0) | 2025.04.11 |
React에서 비동기 데이터 처리 – useEffect와 fetch, axios 제대로 쓰기 (0) | 2025.04.11 |
React 성능 최적화 – React.memo, useCallback, useMemo (0) | 2025.04.11 |